Karpenter냐? Cluster Autoscaler냐? - 기능 비교

Karpenter vs. Cluster Autoscaler와의 주요 차이점

구분 Cluster Autoscaler (CA) Karpenter
작동 방식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오토 스케일링 그룹(ASG)을 통해노드 수를 조절합니다. ASG 없이 직접 EC2 API를 호출하여 노드(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확장 단위 노드 그룹(Node Group) 단위로 노드를 관리하고 확장합니다. 미리 정의된 노드 그룹에 의존합니다. 노드 그룹 개념 없이, 보류 중인 파드(Pod)의 요구사항에 맞춰 개별 노드를 직접프로비저닝합니다.
확장 속도 ASG를 거치는 여러 단계로 인해 스케일링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1.새로운 노드가 준비되기까지 몇 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API를 직접 사용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확장 속도가 빠릅니다.
유연성 노드 그룹에 정의된 특정 인스턴스 유형으로만 노드를 생성합니다. 스팟 인스턴스와 온디맨드를 함께 쓰려면 여러 노드 그룹이 필요합니다. 보류 중인 파드의 요구사항(CPU, 메모리 등)에 가장 적합한 인스턴스 유형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프로비저닝하므로 유연성이 높습니다.
관리 EKS 클러스터의 노드와 ASG의 인스턴스가 별도로 관리되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ubectl로 노드를 삭제해도 ASG의 인스턴스는 남아있어 수동 정리가 필요합니다. 쿠버네티스 네이티브(Kubernetes-native) 방식으로, 노드의 전체 생명주기를 직접 관리하여 관리 포인트를 일원화하고 동기화 문제를 해결합니다.

장단점 비교

Cluster Autoscaler (CA)

  • 장점

    • 쿠버네티스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기본적인 자동 확장 기능으로, 안정적이고 검증된 도구입니다.

    • 단순한 환경에서는 그룹 기반의 직관적인 관리 방식을 제공합니다.

  • 단점

    • 느린 확장 속도: ASG를 경유하기 때문에 파드가 새 노드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버프로비저닝을 사용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 비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약간의 리소스 부족으로 스케일 아웃이 발생할 때, 노드 그룹에 지정된 동일한 스펙의 노드가 생성되어 자원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 복잡성: EKS 노드와 ASG가 분리되어 있어 관리가 번거롭고 정보 비대칭 문제가 발생합니다.

    • 제한된 유연성: 다양한 워크로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노드 그룹을 사전에 정의하고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Karpenter

  • 장점

    • 빠른 오토스케일링: 중간 단계 없이 직접 인스턴스를 프로비저닝하여 확장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 효율적인 자원 관리 및 비용 최적화: 워크로드에 가장 적합한 유형과 크기의 인스턴스를 동적으로 선택하므로 리소스 낭비를 줄이고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뛰어난 유연성 및 간편한 설정: 노드 그룹에 제약받지 않으며, CRD(CustomResourceDefinition)를 통해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스토리지 등을 파드 재기동 없이 손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단순화된 관리: 쿠버네티스 네이티브 방식으로 작동하여 리소스 관리 포인트를 일원화하고 운영 부담을 줄여줍니다1.

  • 단점

    • Cluster Autoscaler에 비해 비교적 최신 기술이므로, 기존 ASG 기반 운영 모델에서 Karpenter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매우 유연한 만큼, 다양한 설정 옵션을 최적화하기 위한 초기 학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Cluster Autoscaler는 안정적이고 전통적인 방식이지만 속도와 유연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Karpenter는 속도, 비용 효율성, 유연성을 극대화한 현대적인 오토스케일러로, 특히 동적이고 다양한 워크로드가 많은 클러스터 환경에 적합합니다.

2 Likes